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PI5

정형·반정형·비정형 데이터 가이드: 개념부터 실전 활용까지 현대 데이터 중심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데이터의 다양한 형태를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데이터는 구조적 관점에서 정형, 반정형, 비정형으로 분류되며, 각각은 고유한 특성과 활용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정형 데이터(Structured Data)정의와 특징정형 데이터는 미리 정의된 데이터 모델이나 스키마에 따라 구조화된 데이터입니다. 테이블의 행과 열 형태로 저장되며, 각 열은 특정 속성을 나타내고 각 행은 하나의 레코드를 의미합니다.주요 특징:스키마 구조 지원: 데이터베이스 스키마가 사전에 정의되어 있음고정된 필드: 모든 데이터가 일관된 형식을 따름SQL 쿼리 지원: 구조화된 쿼리 언어로 검색 및 분석 가능높은 데이터 일관성: 데이터 무결성과 품질 보장대표적인 예시비즈니스 데이터:고객 정보 (이름, 전화.. 2025. 10. 31.
Power BI 웹 서비스 보고서 추출을 위한 REST API 가이드 Microsoft Power BI를 사용하다 보면 웹 서비스에 게시된 보고서들을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관리하거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임베딩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Power BI Pro 라이선스를 보유한 개발자들이 보고서의 임베디드 코드, 보고서명, 보고서 ID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Power BI REST API 주요 엔드포인트1. 보고서 목록 조회 API개인 작업영역 보고서 조회GET https://api.powerbi.com/v1.0/myorg/reports특정 작업영역 보고서 조회GET https://api.powerbi.com/v1.0/myorg/groups/{groupId}/reports관리자용 전체 보고서 조회GET https://api.powerbi.com/v1.0/.. 2025. 10. 21.
AI 툴 API 연동 가이드와 실제 활용 사례 지금은 다양한 AI 서비스가 API 형태로 제공되어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손쉽게 통합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대표적인 AI 플랫폼인 ChatGPT, Google Gemini, Copilot, Perplexity AI를 중심으로 API 호출 방법과 실제 사용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1. API 연동의 기본 구조AI 툴을 API로 연동할 때 공통적으로 필요한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API 키 발급각 서비스의 개발자 포털에서 API 키를 발급받습니다.SDK 또는 HTTP 클라이언트 준비공식 SDK가 제공될 경우 이를 설치하고, 없다면 curl이나 axios, requests 같은 HT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합니다.요청 형식 구성요청 헤더에 인증 정보(Authorization: Bearer )를 넣고, 요청 바디에 .. 2025. 10. 20.
(Data) JSON 활용 가이드: 보안·정합성·RDB 변환 관점 JSON 데이터를 I/F하거나 사용할 때는 정합성, 보안, 성능, 인코딩, 에러 핸들링, 유지보수 관점에 더해, 정형 데이터베이스(RDB)로의 변환을 위한 스키마 매핑 설계와 데이터 적재 전략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1. 데이터 정합성 및 스키마 설계JSON의 유연성은 스키마 불일치 위험을 동반합니다.JSON Schema를 활용해 required, type, pattern, enum 등을 선언해 입력값을 검증하세요.Producer-Consumer 간 API 계약(API contract)을 문서화해 스펙 차이를 사전 예방합니다.스키마 버전 관리 정책을 수립해 변경 시 하위 호환성을 유지합니다.2. 보안(Security) 관점외부 입력 JSON은 공격 벡터가 될 수 있습니다.JSON Injection 방.. 2025. 10. 15.
(Data) REST API 호출 완전 정복: 메서드별 비교·장단점·부하 분석 REST API의 HTTP 메서드(GET, POST, PUT, DELETE 등)와 호출 패턴(동기·비동기·폴링·웹훅·스트리밍)을 이해하면 시스템 성능과 안정성을 모두 잡을 수 있습니다.1. HTTP 메서드 기본 이해REST API는 HTTP 메서드를 통해 자원을 조작합니다. 주요 메서드는 다음과 같습니다.GET: 서버에서 데이터를 조회장점: 멱등성(Idempotent) 지원, 캐시 활용 가능단점: 요청 본문(request body)을 지원하지 않아 복잡한 쿼리 처리 한계POST: 서버에 데이터를 생성 또는 서버 내부 프로세스 트리거장점: 요청 본문을 활용해 복잡한 데이터 전송 가능단점: 멱등성 미지원, 중복 요청 시 이중 생성 주의PUT: 기존 자원 전체 교체장점: 멱등성 보장, 자원 업데이트 명시적단점.. 2025. 10. 14.
반응형